うそつきは泥棒(どろぼう)の始まり。 うそつきは泥棒(どろぼう)の始まり。 "거짓 말은 도둑의 시초“라는 말로 거짓 말을 자꾸 하다 보면 눈 덩이식으로 불어나서, 결국에는 도둑질을 해도 부끄럽게 여기지 않는다는 뜻. うそつき:거짓 말 泥棒(どろぼう):도둑 일본의 속담/(ことわざ(諺) 2012.11.08
花より団子(だんご) 花より団子(だんご) “꽃 보단 경단” “금강산도 식후경”이란 말로, 외관 보다는 내용을 명목 보다는 실속을 차린다는 뜻. 団子(だんご):경단 일본의 속담/(ことわざ(諺) 2012.11.08
住めば都(みやこ) 住めば都(みやこ) "사는 곳이 고향“이라는 말로 , 한번 살아 정이 들면 불편한 시골이라 해도애착이 생겨서 도시에 사는 것과 같다는 뜻. 일본의 속담/(ことわざ(諺) 2012.11.08
空きだるは 音が高い。 空きだるは 音が高い。 “빈통은 두드리면 소리가 매우 크다”라는 말로 인간은 속이 충실한 사람은 침착해서 사물에 동요하지 않는다는 뜻. 空きだる:빈통 일본의 속담/(ことわざ(諺) 2012.11.08
壁に耳あり障子(しょうじ)に目あり。 壁に耳あり障子(しょうじ)に目あり。 "낮말은 새가 듣고 밤말은 쥐가 듣는다“라는 말로 사람의 모습이 보이지 않아도 어디선인가 누가 듣고 있는지 모른다는 뜻으로 비밀은 새기 마련이라는 뜻. 障子(しょうじ):미닫이 문 일본의 속담/(ことわざ(諺) 2012.11.08
飼(か) い 犬に手を噛(か)まれる 飼(か) い 犬に手を噛(か)まれる :기른 개에 손을 물린다.“라는 말로 평상시 총애를 해서 돌봐 주고 있던 사람, 또는 부하가 배반하여 은혜를 원수로 갚는다는 뜻. 일본의 속담/(ことわざ(諺) 2012.11.08
塵(ちり)も積もれば 山となる。 塵(ちり)も積もれば 山となる。 "티끌 모아 태산“이라는 말로 아무리 작은 것이라도 소중히 해야한다는의미. 塵(ちり):먼지 일본의 속담/(ことわざ(諺) 2012.11.08
叩(たた)けば埃(ほこり)が出る。 叩(たた)けば埃(ほこり)が出る。 “털면 먼지가 나온다”라는 말로, 누구나 조사해 보면 숨겨놓은 약점이나 나쁜 과거가 나온다는 뜻. 叩(たた)け: 두드린다. 埃(ほこり);먼지 일본의 속담/(ことわざ(諺) 2012.11.08
朝焼(や)けは雨、夕焼けは晴(は)れ 朝焼(や)けは雨、夕焼けは晴(は)れ "아침 하늘이 뻘겋게 노을 지면 비가 올 징조 이고, 저녁 노을은 맑을 징조“라는 말 朝焼(や)け : 노을 晴(は)れ:맑음 일본의 속담/(ことわざ(諺) 2012.11.08